Unfinished Project - Dumulmeori

Unfinished Project – Dumulmeori

미완의 프로젝트 – 두물머리_HD_00:07:57_2017
Unfinished Project – Dumulmeori_HD_00:07:57_2017

‘레드타임’은 그 시작부터 붉은 깃발로 연상되어지는 다양한 의미들을 이유로 수많은 민원을 발생시켰다.
결국 작업은 완성에 필요로 했던 12개월(2016.9~2017.8)을 채우지 못하고 그해 겨울 모두 내려져 미완의 프로젝트로 남게 되었다.
마치 두물머리에 남겨진 그 미완의 합의처럼…

<미완의 프로젝트-두물머리>(2017)는 양평 두물머리에 붉은 깃발을 매월 하나씩 순차적으로 올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붉은색이 탈색되어가는 과정을 기록하려던 원작 <레드타임>(2016.09~)의 미완의 기록이다. 프로젝트를 진행한 양평 두물머리 지역 주민들은 MB 정부의 4대강 사업에 맞서 투쟁 끝에 생태 공원을 조성하기로 정부와 타협을 이루어 냈으나 결국 이는 무산되어 정부의 배신으로 끝나는 분위기였다. 이러한 가운데 붉은 깃발은 정치, 분단, 지역의 경계로 연상되는 여러 의미들로 인해 민원이 제기되었고, 결국 미완의 프로젝트로 남게 되었다. 이러한 개입의 방식은 의도치 않게 많은 이들의 은폐된 개인의 욕망과 의도를 수면 위로 드러내게 하였고, 행위 이면에 감추어진 진보와 보수, 분단과 전쟁 등 다양한 이슈들에 대한 숨은 의미를 묻는다.

두물머리 안내문_아카이벌 피그먼트 프린트_80x53 cm_2018
Dumulmeori Notice_archival pigment print_80x53 cm_2018

Unfinished Project-Dumulmeori(2017) is an unfinished record of the original piece, Red Time(Sept.2016~), in which the artist intended to record the process of the red color of red flags, consecutively raised with one added each month, fading with the passage of time. Residents of the Yangpyeong Dumulmeori area, who participated in the project, opposed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s Four Major Rivers Project, and came to terms with the government for an ecology park following a fight, but this ultimately fell through and the mood was one of it all ending with the government’s betrayal. Amidst such, complaints were filed against the red flags, due to the several meanings evoked as political, division-related, and local boundaries; and it was left an unfinished project in the end. Such methods of intervention unintentionally caused many people’s hidden personal desires and intentions to surface; in the work pose questions regarding the hidden meanings about various issues hidden on the other side of actions, including those of liberalism and conservatism, division and war.

레드타임_매달 순차적으로 올린 12개의 깃발_2420x800 cm_2016.09~ _(시뮬레이션)
Red Time_12 flage posted sequentially every month_2420x800 cm_2016.09~ _(simulation)

작업은 상징적 시간 단위로서 12개의 깃발들을 매달 순차적으로 자연에 내어 걸고, 태양과 비, 바람 등에 노출시켜 그 시각적 변화과정을 기록하는 작업이다. 그러나 단지 비시각적 시간을 시각화하여 보여준다는 관념적, 추상적 단계를 넘어 두물머리가 가지는 지형학적, 역사적, 장소 특정적 의미를 작업에 또한 담고자하였다.
두물머리는 북한강과 남한강이 만나고 남양주, 광주, 양평, 하남으로 흩어지는 곳이다. 수많은 령들은 오랜 세월의 변화에도 물속에서, 산속의 나무와 바위들 속에 살아 깃들어 있는 곳이거니와 6. 25 전쟁과 한강의 홍수를 이겨내었고, 팔당댐의 건설로 터전의 수몰과 지역 간의 이별이라는 현대사적 질곡을 경험하였으며, 무엇보다 4대강 정비사업에도 끝까지 농토를 지키고자 했던 농민들의 성지로서 이들의 못 다한 한을,이 물길을 통해 저 바람을 통해 조용히 우리에게 이야기해주는 곳이다.
작업은 이러한 신화로서 지금의 역사로서 물처럼 흘러 현재에 이르고, 바람처럼 다시 미래의 시간으로 흩어질 비시각적 시.공간성을 이곳 두물머리에 함축적으로 보여주는데 있다. 그리고 거대 권력 앞에 끝내 이곳을 떠나야 했던 농부들이 그토록 지키고자 했던 사명과 그들의 영토와 내어 바꾼 자존, 그리고 반드시 지켜야 할 우리들의 약속이 망각의 저편으로 지워지지 않길 소망하며 제작되었다.

This work involves posting 12 flags in sequence in nature as symbolic units of time, and exposing them to the sun, rain, and wind to record the process of visual change. However, going beyond the conceptual and abstract phase of showing the visualized invisible time, the work intends to embrace the topographical, historical, and location-specific meaning held by Dumulmeori.
Dumulmeori is where Bukhangang River and Namhangang River intersect and get scattered into Namyangju, Gwangju, Yangpyeong, and Hanam. It is a place where the numerous spirits are alive and dwelling in the water, trees in the mountains, and rocks despite changes over a long period, as well as a place that overcame the Korean War and the flooding of Hangang River, experienced the ordeals of modern history of submerged homes and the separation of regions due to the construction of Paldang Dam, and is a sacred land of farmers who tried to defend the farmland until the very end against the four major rivers project, quietly telling us their unsatiated sorrows through this waterway, that wind.
The work intends to implicitly show the invisible space time that reached the present as today’s history flowing like water as a myth, which will again scatter into the future, here at Dumulmeori. It was also made in the hopes that the mission that the farmers who had to leave this place in front of immense power attempted to protect, the self-respect exchanged with the land, and our promise that must be kept are not forgotten to oblivion.

전시광경
시간을 보다_2019_(서울대학교미술관, 서울)
installation view
Seeing Time_2019_(Seoul National University Museum of Art, Seoul)

사진제공_서울대학교미술관 / 사진촬영_권오열